top of page
post-ai-image-2694.png
title2.png

Tech Trends &

Tech Trends &

ANALYSIS

ANALYSIS

[제20250911-TT-01호] 2025년 9월 11일 반도체 기술 관련 주요 뉴스 요약

  • 이도윤
  • 9시간 전
  • 1분 분량

고부가 D램 시장 잡은 삼성…HBM4서 '반격' 나선다

(2025년 9월 11일, 한국경제, 황정수•김채연•박의명 기자)


[핵심 요약]


[1] 삼성전자, 고부가 D램 시장 주도

삼성전자가 서버·고성능 컴퓨팅용 DDR5 등 고부가가치 D램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보, 글로벌 데이터센터와 AI 인프라 수요 확대에 대응함.


[2] 차세대 HBM4 제품 개발로 경쟁 재점화

삼성은 경쟁사 대비 빠른 HBM4(고대역폭메모리) 개발 일정으로, 올해 하반기 엔비디아 등 글로벌 IT 기업에 샘플 공급을 앞두고 시장 반격에 나섬.


[3] SK하이닉스·마이크론과 경쟁 격화

HBM3E 등 신제품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, 반도체 미세 패키징·열 관리 등 기술적 진보로 삼성은 품질·생산능력 모두에서 경쟁력 강화 중.


[4] 메모리 시장 지배력·공급 안정성 강화

삼성은 대량 생산 및 신뢰도 높은 제품 공급 체계를 바탕으로, AI 시대 메모리 시장에서 리더십 유지와 신규 수익원 확보에 집중하고 있음.


[5] AI 및 차세대 IT 시장 성장 주도

HBM4 등 신규 고성능 메모리 출시로 차세대 AI·클라우드 컴퓨팅·모바일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음.



SK하이닉스, 세계 최초 고성능 모바일 낸드 설루션 공급 개시

(2025년 9월 11일, 연합뉴스, 조성흠 기자)


[핵심 요약]


[1] 세계 최초 고성능 모바일 낸드 공급 시작

SK하이닉스가 업계 최초로 고성능 모바일용 낸드 솔루션을 공식 공급하며, 글로벌 스마트폰·IT기기 시장에 새로운 경쟁력을 제시함.


[2] 첨단 낸드 기술로 성능·저전력 혁신

신규 모바일 낸드 제품은 데이터 처리 속도와 안정성, 저전력 효율이 뛰어나 프리미엄 스마트폰과 차세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합하도록 설계됨.


[3] 시장 수요 확대·글로벌 고객 확보

SK하이닉스는 경쟁사 대비 빠른 개발과 출시를 통해 시장 수요를 선점하고, 주요 IT 기업 및 스마트폰 제조사와 협력 확대 계획을 추진함.


[4] 스마트폰·AI 기기 성능 업그레이드 기대

고성능 모바일 낸드 솔루션 도입으로 기기 저장 공간, 속도, 응답성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며, 차별화된 모바일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전망임.

​뉴스레터 신청

icon

경기 수원 영통구 창룡대로256번길 77 (에이스광교타워3), B214호

Tel. 031-548-4402     / Fax. 031-548-4403

Email. info@sptakorea.com

© Copyright 2025 SPTA TIMES All Rights Reserved

bottom of page